고급 개발자로 가는 길

OS/Linux

디스크 파티션, 파일시스템, 마운트

다크엔지니어 2020. 3. 13. 19:58
반응형

Virtual Machine 으로 만들어 놓은 SCSI 하드 디스크에 이어서 3개의 디스크를 생성해보았다.

Virtual Machine Setting

1GB 씩 3개를 추가 생성하였으며, 디스크를 추가 한 후에는 파티션을 생성해 주어야 한다. windows 에서 C: D: 처럼 사용하기 위함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.

 

sudo fdisk -l 을 사용하여 전체 디스크의 파티션 정보를 확인한다.

 

fdisk 를 사용하여 /dev/sdb 의 파티션을 새롭게 생성한다.

 

500MB SIZE 인 파티션 sdb1, sdb2 를 생성하였다 

 

파일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설정이 저장된 파일이다.

 

sdd2 장치에 ext4 저널 가능한 파일시스템으로 생성을 해주며 -v 옵션으로 상세출력한다.

 


최종적으로 3개의 디스크를 추가하여 파티션을 나눈 후 파일시스템을 생성까지 해보았다.

mount 옵션을 사용하여 원하는 디렉터리 계층에 연결해야 실제 리눅스에서 사용이 가능하다.

 

반응형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Memory 에 관하여  (1) 2020.03.17
APM 및 게시판 설치하기  (0) 2020.03.14
Network Manager  (0) 2020.03.14
웹 서버 설치 및 사용해보기  (0) 2020.03.14
MariaDB  (0) 2020.03.14